Follow
Jaeeun Lee
Jaeeun Lee
Sangji University
Verified email at sangji.ac.kr
Title
Cited by
Cited by
Year
A multiple group analysis of the training transfer model: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performers in a Korean insurance company
C Lee, H Lee, J Lee, J Park
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5 (20), 2837-2857, 2014
862014
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 skeletal disease, job stress, and turnover among Korean firefighters
JH Lee, J Lee, KS Lee
Safety and Health at Work 11 (2), 222-227, 2020
262020
Evaluating training for new government officials: A case study using the success case method
C Lee, D Jeon, W Kim, J Lee
Public Personnel Management 46 (4), 419-444, 2017
222017
The bibliometric keywords network analy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trends: The cas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s in South Korea
C Chae, JH Yim, J Lee, SJ Jo, JR Oh
Sustainability 12 (14), 5700, 2020
162020
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중요도 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: X 세대와 Y 세대의 비교
이재은
HRD 연구 20 (3), 175-203, 2018
152018
조직의 학습지원, 전이동기, 전이기대, 상사의 전이지원이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
이찬, 정보영, 이재은
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5 (2), 55-80, 2013
152013
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job support and motivational process of training transfer
Y Park, DH Lim, J Lee
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46 (1/2), 194-213, 2022
122022
사무직 근로자의 핵심자기평가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: 도전적 직무경험의 매개효과와 개인특성의 조절된 매개효과
이재은, 이찬
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 (1), 97-127, 2016
112016
조직의 학습지원과 교육훈련 전이 간 관계에서 전이동기를 통한 경력계획의 매개된 조절효과
박윤희, 이재은
HRD 연구 (구 인력개발연구) 20 (1), 39-69, 2018
92018
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성공 준거에 관한 연구
이재은
서울대학교 대학원, 2015
82015
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학습 프로그램 성과분석: K 대학 사례
이재은, 박혜진
인문사회과학연구 20 (2), 415-437, 2019
72019
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성공 측정을 위한 통합적 평가 준거 모형 개발
이재은, 이찬
HRD 연구 (구 인력개발연구) 18 (2), 1-36, 2016
72016
Career Growth Opportunity on Turnover Intention: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
J Lee, B Kim, Steven, C Chae, J Lee
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Studies 9 (4), 2019
62019
기업근로자 경력성공 인식의 다차원성과 차이: 토픽모델링의 적용
이재은, 채충일
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(6), 58-71, 2019
62019
도전적 직무경험 (Challenging Job Experience) 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통합모형 개발
이재은, 조영아
HRD 연구 21 (3), 133-163, 2019
62019
청년 취업자의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종단적 관계: 경력성공 상호작용 관계의 검증: 경력성공 상호작용 관계의 검증
이재은, 곽미선
진로교육연구 29 (4), 47-68, 2016
52016
환경경영전문가 육성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선 연구: 서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
이찬, 윤여창, 문예원, 이재은
환경교육 25 (2), 210-223, 2012
52012
관광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: 동남아시아 6 개국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: 동남아시아 6 개국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
권장욱, 이재은
관광레저연구 31 (4), 25-48, 2019
42019
강소기업 R&D 인력 교육훈련의 핵심성공요인
이찬, 박윤희, 여수경, 이재은
중소기업연구 34 (3), 43-66, 2012
42012
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평생교육정책 주요 시기별 [평생교육학연구] 연구동향 분석
이재은, 조영아
평생교육학연구 27 (4), 43-72, 2021
32021
The system can't perform the operation now. Try again later.
Articles 1–20